본문 바로가기
잘 먹고 잘 살기
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하기!

by ※☆§@◎ 2025. 3. 21.
반응형

올 겨울 참 춥고 길었죠. 그만큼 난방이 필요해서 도시가스 비용이 많이 나온 가정들도 많으실 거에요. 저희 부모님댁도 평소보다 관리비가 두 배는 더 나왔더라고요. 이런 도시가스 요금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도록 한국가스공사가 "도시가스 절약 캐시백" 제도를 시행합니다.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전년도보다 도시가스를 절약했다면 사용량이 줄어든 비율에 따라 캐시백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 

 

이번년도에는 약 40만 가구가 참요하고 있고 최대 9만원 이상의 캐시백을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. 오늘은 도시가스를 절약하면서 캐시백을 받을 수 있는 캐시백 신청방법도시가스 절약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! 

캐시백




🌿도시가스 절약 캐시백이란?

도시가스 절약 캐시백은 12월부터 다음 해 3월까지 도시가스 사용량을 전년 동기 대비 3% 이상 절감하면 현금으로 돌려받을 수 있는 제도입니다. 절감 비율이 높을수록 ㎥당 최대 200원의 캐시백을 받을 수 있습니다.

  신청 기간: 2024년 12월 1일 ~ 2025년 3월 31일
  절감 기간: 2024년 12월 ~ 2025년 3월 (2025년 1월~4월 고지서 발행분)
  비교 기준: 2023년 12월 ~ 2024년 3월 사용량
  캐시백 지급 시기: 2025년 7~8월 중

만약, 지난 동절기 동안 400㎥의 도시가스를 사용한 집에서 보다 올해 같은 기간 동안 20%를 절감한 320 ㎥의 도시가스를 사용했다면, 도시가스 요금 자체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이고 1만6천원 가량의 캐시백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.

캐시백 지급기준




🌿참여 방법 및 유의사항


✔ 1.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주택난방용(개별난방/중앙난방) 도시가스 요금제를 사용하는 가구라면 누구나 신청 가능합니다. 단, 취사용 가스 요금제는 제외됩니다.


✔ 2. 신청 방법
온라인 홈페이지에서 2025년 3월 31일까지 신청하면 됩니다. (홈페이지: https://k-gascashback.or.kr/ko/ )

✔ 3. 캐시백 지급 대상에서 제외되는 경우
-전출·전입, 명의변경 등으로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-산업용, 업무용 난방 등 주택난방용이 아닌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
-신청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지만 정보제공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





🌿도시가스 절약하는 5가지 팁

 

그렇다면, 도시가스는 어떻게 절약할 수 있을까요? 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하면서 현금까지 돌려받을 수 있는 캐시백 팁 소개합니다. 올 겨울에 적용해 보시면 내년에 더 큰 캐시백을 받으실 수 있을거에요! 

1. 실내 적정 온도(18~20℃) 유지하기
난방비 절약의 핵심은 온도 조절입니다. 실내 온도를 1℃ 낮추면 난방비를 약 7% 절약할 수 있으며, 20℃ 이상 높이면 요금이 급격히 증가할 수 있습니다.

2. 적정 습도(40~60%) 유지하기
가습기나 젖은 수건을 활용해 습도를 높이면 체감 온도가 상승해 난방 효과를 극대화할 수 있습니다.

3. 외출 시 보일러 "외출 모드"로 설정하기
보일러를 완전히 끄는 것보다 외출 모드를 활용하면 실내 온도를 일정하게 유지하면서도 에너지를 절약할 수 있습니다.

4. 수도꼭지를 "냉수"로 설정하기
수도꼭지가 온수 방향으로 되어 있으면 보일러가 불필요하게 작동할 수 있습니다. 사용 후 반드시 냉수 방향으로 돌려주세요.

5. 방한 용품 활용하기
창문에 에어캡(뽁뽁이)을 붙이고, 커튼·카페트·난방 텐트를 활용하면 실내 온도를 유지하는 데 도움이 됩니다.



 

🌿지금 바로 신청하고 혜택 받기!

2025년 3월 31일까지 신청하면 도시가스를 절약한 만큼 요금 감면과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따뜻하고 알뜰한 겨울을 보내고 싶다면,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 

자세한 사항은 한국가스공사 홈페이지에서 확인할 수 있습니다.

> 홈페이지 바로가기 

반응형

댓글